분류 전체보기 142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農樂)등재 2014년영문명 Nongak, community band music, dance and rituals in the Republic of Korea 농악은 공동체 의식과 농촌 사회의 여흥 활동에서 비롯된 대중적인 공연예술 중 하나이다. 타악기 합주와 함께 전통 관악기 연주, 행진, 무용, 연극, 기예 등이 어우러진 공연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공연예술로 발전해 왔다. 각 지역의 농악 연주자들은 화려한 의상을 입고 마을의 신과 농사의 신에게 바치는 제사, 액을 쫓고 복을 부르는 축원, 봄철 풍년 기원 및 수확기 풍년제, 마을 공동체가 추구하는 사업을 위한 재원 마련 행사 등 정말 다양한 마을 행사에서 연주되며, 각 지역 고유의 음악과 춤을 연주하고 선보인다. 고유한 지역..

유네스코 2023.08.01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난중일기 :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陣中日記)등재 2013년영문명 Nanjung Ilgi: War Diary of Admiral Yi Sun-sin 본문이순신 장군 『난중일기(亂中日記)』 (1545~1598)는 한민족의 가장 존경받는 영웅 중 한 명인 이순신 장군이 일본의 조선 침략 당시였던 임진왜란(1592~1598) 기간 동안 진주에서 쓴 진중일기(陣中日記)이다. 『난중일기』는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1월부터 이순신 장군이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고 죽음을 앞둔 1598년 11월까지 거의 매일 쓴 7권 205쪽 분량의 사본으로 구성돼 있다.히데요시(1536~1598)의 조선 침략으로도 알려진 정유재란은 중국 명나라의 패권에 도전하고 아시아..

유네스코 2023.07.31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등재 2000년영문명 Gyeongju Historic Areas 경주역사유적지구에는 조각, 탑, 사찰지, 궁지, 왕릉, 산성을 비롯해 신라시대의 우수한 불교유적과 생활유적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의 유적이 많아 이들 유적을 통해 신라 고유의 뛰어난 예술성을 확인할 수 있다. 경주는 신라의 수도로 신라의 1,000년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신라의 생활문화와 예술적 감각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총 5개의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불교유적이 있는 남산지구, 옛 왕궁터였던 월성지구, 많은 고분들이 모여 있는 대릉원지구, 불교사원 유적지인 황룡사지구, 방어용 산성이 있는 산성지구가 이에 해당한다.등재기준경주역사유적..

유네스코 2023.07.31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등재 2013년영문명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늦가을에 기온이 내려가면 많은 한국인들은 김장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 김장은 한국인들이 춥고 긴 겨울을 나기 위해 김치를 대량으로 담그는 것을 말한다. 김치는 한국 고유의 향신료와 해산물로 맛을 내고 발효시킨 한국적인 방식의 채소 보존 식품을 말하며,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760년 이전에도 한국인의 식단에 김치가 있었다고 한다. 김치는 계층과 지역의 차이를 넘어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밥과 김치는 가장 소박한 밥상이지만, 가장 호화로운 연회에서도 김치는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다.김장은 한국인의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를 통합한 식문화로 지역 생..

유네스코 2023.07.26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등재 2007년영문명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총면적 18,846㏊ 규모의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은 천장과 바닥이 다양한 색상의 탄산염 동굴 생성물로 구성되어 어두운 용암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굴계로 꼽히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바다 바다에서 솟아올라 극적인 장관을 연출하는 요새 형태의 성산일출봉 응회암(tuff cone), 그리고 폭포와 다양한 형태의 암석, 물이 고인 분화구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한라산 등 3개 구역으로 구성돼 있다. 뛰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이 유산은 지질학적 특성과 발전 과정 등 지구의 역사를 잘 보여주..

유네스코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