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기회와희망 2023. 8. 12. 18:42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등재 2010년

영문명 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요약

14~15세기에 조성된 하회(河回) 마을과 양동(良洞) 마을은 한국을 대표하는 유서 깊은 씨족 마을로, 숲이 우거진 산을 뒤로하고 강을 바라보며 농경지를 개방하는 마을의 위치와 배치는 조선 전기(1392~1919)의 유교 귀족문화를 반영한 것입니다. 옛 마을은 주변 경관에서 물질적, 정신적 자양분을 얻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마을에는 종가와 귀족들이 살던 목조주택, 정자와 정사, 서원과 사당, 그리고 전 평민들이 살던 흙집과 초가집이 있습니다. 17~18세기 시인들은 정자와 쉼터에서 마을을 둘러싼 강과 산, 나무의 풍경을 바라보며 아름다운 시를 노래했습니다.

등록기준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조선 전기의 특징인 마을의 형태를 유지한 가장 잘 보존된 대표적인 씨족 마을로서, 마을의 위치와 배치, 가옥의 전통 등에서 두 마을은 500여 년 동안 엄격한 유교적 이상을 따라 마을이 형성되었던 조선 시대의 유교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한반도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조선시대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양반 가옥과 평민 가옥의 전체적이고 개별적인 배치가 조화를 이룬다는 것은 조선시대의 힘과 영향력이 문리적이고 철학적인 전통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적이고 문화적인 전통에도 깊이 배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500년 동안 조선을 통치했던 양반들의 문화가 꽃피운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마을은 약 9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두 마을은 14~15세기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18~19세기 후반에 규모와 구성이 확대되었으며, 두 마을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마을 터인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형태로 지역 기후 조건에 맞는 건물과 유교 예절에 맞는 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을에는 종가, 양반들이 살던 크고 튼튼한 목조 가옥, 정자와 정사, 유교 서원과 서당 등이 씨족 마을의 대표적인 요소들이 남아있습니다. 또한 평민들이 살던 작은 단층 흙집과 초가지붕의 초가집도 있습니다. 정자와 휴식처에서 볼 수 있는 마을 주변의 산과 나무, 강 등의 풍경은 17~18세기 시인들이 시로 낭송할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두 마을의 전통 가옥과 마을의 위치와 배치의 뛰어난 조화는 조선 시대 사회와 문화의 한 예로 꼽힙니다. 특히 씨족 마을 형성의 특징 체계는 이 지역만의 독특한 것으로 500년 이상 발전되어 왔습니다.

완전성

유산으로 등록된 이 두 마을에는 씨족 마을의 대표적인 구성요소인 양반 가옥과 평민 가옥, 공간배치 형태인 서당과 서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하회마을에서 동쪽으로 4㎞ 떨어진 곳에 병산서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옥산서원(玉山書院)과 동강서원(東江書院)이 각각 8㎞, 4㎞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문인들에게 영감을 주는 강과 숲, 산의 조화로운 풍경은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볼 수 있고, 양동마을에서는 그 완성도가 다소 떨어지지만, 수운정(睡雲亭)에서 볼 수 있는 양동마을과 안강평야, 능선을 흐르는 안락천은 등재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 유산은 최소한의 부작용 외에는 개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고 방치된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양동마을은 교량, 도로, 철도 등 새로운 기반시설이 건설되면서 환경이 일부 훼손됐습니다.

 

진정성

씨족 마을 요소의 보편적 가치는 주택과 마을 배치의 우수성과 관련이 있으며, 씨족 마을의 주변 환경과 의례는 유교적 전통에 의해 형성된 조선시대 정치체제와 문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이들 마을이 위계에 의해 형성된 마을 배치와 영향력 있는 씨족과 학자들의 표상을 보여준다고 인정했습니다. 복원 과정에서 사용된 자료들로 인해 유산의 진정성이 다소 훼손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하회마을에서는 일부 건물을 새롭게 활용하기 위해 자료들이 변경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변화들이 가끔 일어나고 있습니다.

본문

씨족 마을이 번성했던 조선왕조는 한반도 전체를 지배하고 한국 사회에서 유교적 이상을 실현했으며, 또한 중국과의 무역을 통해 서양 문화를 받아들여 한국의 전통 과학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풍수지리에 따라 지방의 지형과 조화를 이루며 마을을 형성하는 풍습은 그 이전의 고려시대에 나타났지만, 새로운 마을에서 지주와 지방 관리들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거나 유교적 관습에 따라 새로운 마을을 만든 것은 조선시대의 일입니다.

 

보통 씨족 마을에서는 1~2명의 양반들이 마을을 지키기 위해 성을 쌓고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는데, 이들 씨족 마을에서는 관리와 무관도 배출되었습니다.

 

하회마을은 새로운 양반 정주지를 찾아 허 씨와 안 씨, 류 씨 세 가문에 의해 고려 말에 형성되었습니다. 16세기말, 류 씨 가문은 마을의 건축, 특히 관사를 통해 볼 수 있는 뛰어난 정치가와 학자를 배출했습니다. 그 이후 마을은 번창했지만, 17세기말에 허 씨와 안 씨 가문이 마을을 떠나면서 류 씨 가문 단독 마을이 되었습니다. 마을은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계속 성장했습니다. 1980년대에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났고, 1991년에 초등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그러나, 이 경향은 1990년대에 두 채의 새로운 전통 가옥이 지어지면서 역전되기 시작했습니다.

 

양동마을은 이 씨 가문과 손 씨 가문의 결혼 사례로, 처가에 들어가 정착하면서 마을로 성장한 정주지의 사례로, 16세기에 이들 두 가문은 뛰어난 인물을 배출하였고, 두 가문의 가문을 중심으로 마을이 확장되었습니다.

 

20세기 초반에는 마을에 철도가 생기고 학교가 들어서고 1940년대에는 사찰이 생기고 10년 뒤에는 교회가 들어서고 1970년대에는 안락천에 다리가 생겼고 1971년에는 안강평야 농경지가 정비돼 마을 공동 저수지가 생겼습니다. 1980년대에는 우리나라의 다른 마을처럼 마을이 급격하게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유네스코 세계유산 갯벌, 한국의 조간대

반응형